오늘은 우리나라 사람들이 코로나 19가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전과 후에 어떠한 종목들을 주로 샀고, 주로 팔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코로나 19가 본격적으로 주식시장에 영향을 준 2.20 이후와 1월달을 비교해 보았다.
20.1월 : 매수 2,355 / 매도 1,883 (순매수 472) * 단위 : 백만달러
20.2.20 ~ 3.17 : 매수 4,128 / 매도 4,051 (순매수 77) * 단위 : 백만달러
아직까지는 매수가 매도보다는 조금 많지만, 순매수 금액은 약 85% 감소 하였다.
1. 20년 1월 상위 매수종목 및 매도종목을 살펴보면, 살펴볼 부분이 나스닥 100지수의 일일 등락을 3배로 추종하는 TQQQ의 약 11백만달러 순매도, 그리고 미 20년 국채에 투자하는 TLT가 약 38백만달러 매도를 기록하고 있다 (TLT의 경우 매수상위 TOP50에 없어 정확한 매수금액 알기 어려움). 1월에는 미국증시가 좋아서 안전자산인 채권매도세가 강한편이며 TQQQ는 증시 상승에 따른 수익실현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 상위 매수종목 및 거래액 (백만달러) |
* 상위 매도종목 및 거래액 (백만달러) |
||||
1 |
애플 |
125 |
1 |
아마존 |
98 |
2 |
테슬라 |
115 |
2 |
테슬라 |
87 |
3 |
아마존 |
112 |
3 |
마이크로소프트 |
80 |
4 |
마이크로소프트 |
68 |
5 |
애플 |
49 |
5 |
알파벳A |
67 |
7 |
TLT(미 20년국채) |
38 |
20 |
TQQQ(나스닥3배) |
24 |
9 |
TQQQ |
35 |
2. 20년 2.20~3.17일 상위 매수종목 및 매도종목을 살펴보면, 1월에도 매도세가 강했던 TLT를 22백만달러치 순매수를 한것을 볼수 있으며, TQQQ의 경우도 23백만달러치 순매수를 하였다. 코로나 19로 인해서 시장이 어려운 상황에서 TQQQ가 TOP5에 들었다는 것을 보면 우리나라 사람들은 역시 하이리스크-하이리턴을 좋아하는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반대로 1월에는 매수 TOP50에도 들지 못했던 TLT가 매수 2위에 링크가 되었는데, 이는 기관투자자들이 포트폴리오에 포함시킨 것으로 봐야하는것인지. 개인적인 추측이지만 기관이나 투자 고수들은 조금 늦었지만 장기채권을 P/F에 추가하는 리밸런싱을 하고 개인들은 반등을 기대하고 TQQQ를 순매수 하지 않았을까 싶다.. 물론 TLT와 TQQQ를 동시에 P/F에 포함시킨 분들도 있겠지만 그래도 최근 하락을 생각하면 TQQQ의 하락을 TLT로 커버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한방도 좋지만 이런 변동성이 큰 상황에서는 TQQQ와 같은 종목 매수는 신중해야 하지 않을까 싶다.
* 상위 매수종목 및 거래액 (백만달러) |
* 상위 매도종목 및 거래액 (백만달러) |
||||
1 |
테슬라 |
268 |
1 |
마이크로소프트 |
235 |
2 |
TLT |
248 |
2 |
테슬라 |
233 |
3 |
애플 |
243 |
3 |
TLT |
226 |
4 |
마이크로소프트 |
239 |
4 |
애플 |
206 |
5 |
TQQQ |
184 |
6 |
TQQQ |
161 |
우리나라 사람들이 좋아하는 테슬라의 경우 1/31일 주당 650달러 -> 2/19일 917달러 (고점) -> 3/17일 430달러 : 고점대비 약 54% 하락하여 시장의 하락폭을 상회 하였다. 2,3월달이 1월에 비해 매수/매도 금액이 보다 커진것을 볼수 있는데 그런만큼 더많은 손해가 발생하지 않았을까 싶다.
아마존의 경우 1/31일 주당 2,008달러 -> 2/19일 2,179달러 (고점) ->3/17일 1,807달러 : 고점대비 약 18% 하락하여 시장의 하락폭보다 선방 하고 있다. 그러나 1월에는 상위 TOP5에 있던 아마존의 경우 2~3월에는 상위 매수/매도 종목에 링크가 되어있지 않다.
테슬라와 같은 종목은 참 투자하기가 어렵다. 상승폭이 컸던 만큼 현재 하락폭도 깊다. 달리는 말에 올라타는 방식이 쉽기도 하지만 떨어졌을때 크게 다칠수 있다는 생각이 든다.
해당자료는 증권정보포털인 '세이브로'에서 조회하였으며 사람들은 이 시기에 어떠한 종목을 매수하고 매도하는지 알아보고자 간단히 정리해 보았다.
오늘 장은 현재 하락으로 출발하고 일부 채권이 오르고 있는데 아마존도 같이 오르는 기 현상이 보인다. 다음달 매수 상위에는 아마존이 올라 있지 않을까 싶다.. 많이 떨어지고 있는 종목을 싸게 사는게 좋은지, 이러한 상황속에서도 선방하고 잘 버텨주는 종목을 조금 비싸더라도 사는게 좋은지 아무도 모른다.
다만 가장 중요한것은 시장에 휘둘리지 말고, 나만의 원칙을 세우고 이를 시장에 적용시켜 봐야한다.
그래야 시간이 지나고 나의 경험치가 올라가고 레벨업을 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이번주도 어려운 장이 되겠지만 시장을 탈출하는 쉬운길 보다는, 시장속에서 조금씩 나만의 원칙과 전략을 가지고 싸워가며 한주 잘 버텨야 겠다. 모두들 화이팅.!
2020.3.20 국제유가 급등락, 향후 전망은?(feat.셰일오일) (0) | 2020.04.11 |
---|---|
2020.3.19 삼성전자 투자 괜찮을까? (0) | 2020.04.11 |
2020.3.17 워렌버핏 따라 공부하기 (feat.보잉&에어버스) (0) | 2020.04.11 |
2020.3.16 아마존 주식 투자 분석 (feat.Amazon Prime) (0) | 2020.04.11 |
2020.3.16 미국, 한국 금리인하 (제로금리 시대 돌입) (0) | 2020.04.11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