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코로나19로 인한 하락장에서 워렌버핏이 미국 델타항공 주식을 추가로 매수했다. 워렌버핏을 따라서 델타항공 주식을 사는 사람도 있는것 같다.
항공주의 경우 전염병 뿐만 아니라 유가 등 여러가지 요인들이 많아 투자가 어렵고 평소에도 관심이 크게 없고 잘 모르는 종목이라 pass. 하지만 현재 가장 어려움을 겪고 있고 당분간도 쉽지 않을 것 같은 산업이라 워렌버핏을 따라 이번에 공부를 조금 해볼까 한다.
대한항공, 델타항공과 같은 운항회사도 있지만 비행기 자체를 만드는 제조사 또한 이번에 크게 타격을 입고 있다. 대표적인 회사는 보잉과 에어버스.
원래 작년부터 보잉에 관심을 가지고 일부 투자도 하고 지켜보고 있었지만 보잉 737 맥스 사고로 인해서 사경을 헤매고 있어 당분간 쉽지 않겠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코로나 19로 인해서 2연타... 쉽지 않아 보인다.
19년 실적을 보면 항공기 인도와 상용기 신규수주에서 에어버스는 보잉을 훌쩍 따돌리고 있는것 같다.
에어버스의 경우 현재 프랑스 증시에 상장되어 있고 현재 62 유로 정도에 거래가 되고 있는데, 이는 20년 1월 24일 139.4유로에 최고점을 찍은것을 고려하면 두달이 채 되지 않아 반토막이 난 것을 알수 있다. 5년전 주가 수준과 비교하면 2015년 1월 약 40유로 정도였고, 최근 5년간 3배이상 상승을 하였다. 아직 100% 매력적인 가격구간은 아니지만 꾸준히 지켜볼만한 가격대에는 진입을 한것 같다.
현재 세계시장에서 보잉과 에어버스를 빼면 항공기를 제대로 만들 수 있는 회사가 있는가? NO.
코로나 19가 잠잠해 지면 사람들은 여행을 가지 않고 집에만 박혀 있을까? NO.
보잉이나 에어버스가 망하도록 미국이나 프랑스에서 가만히 내버려 둘까? NO.
다시는 여행수요가 증가하면 항공기 제작에 대한 수요도 증가할까? YES
1~2년 보지말고. 10년~20년 뒤를 바라보자. 어느때도 없던 세일기간 이다. 현재는 보잉 737 맥스로 인해서 에어버스가 좀더 매력적으로 보이는데, 일단은 두 기업을 모두 리스트에 올려두고 흐름을 지켜보자.
2020.3.19 삼성전자 투자 괜찮을까? (0) | 2020.04.11 |
---|---|
2020.3.18 코로나19 전후 종목변화(한국인이 사랑하는 미국주식) (0) | 2020.04.11 |
2020.3.16 아마존 주식 투자 분석 (feat.Amazon Prime) (0) | 2020.04.11 |
2020.3.16 미국, 한국 금리인하 (제로금리 시대 돌입) (0) | 2020.04.11 |
2020.3.15 미국주식은 2008년 금융위기만큼 현재 매력적인가? (0) | 2020.04.11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