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밤토리 입니다~^^
지난 23일 장마감 '인텔의 새로운 CEO인 Pat Gelsinger가 '파운드리 사업' 진출을 발표했는데,
어떤 내용인지 그리고 기존 사업자(TSMC, 삼성전자)에는 어떤 영향이 있을지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자료출처 : 인텔 홈페이지
1. 인텔 파운드리 주요내용
자료출처 : 대신증권
인텔의 경우 반복적인 공정지연으로 현재 10나노 제품을 양산하고 있는데,
2023년 부터는 CPU 코어제품 일부를 외부 파운드리에 외주를 주겠다고 발표하였습니다.
* 이는 미세공정이 필요한 제품은 외주를 하겠다는 건데,
인텔이 내부적으로 TSMC/삼성전자의 미세공정을 단기간에 따라가기 어렵다고
판단한것으로 생각됩니다.
자료출처 : 대신증권
외부 파운드리 활용과 동시에 내부적으로는 200억 달러를 투자하여
미국 애리조나에 두개의 공장(2024년 준공예정)을 지어 파운드리 사업에 재진출,
기존 22nm 공정부터 활용하여 향후 7nm로 업그레이드 예정이라고 합니다.
* 과거 2013년 파운드리 사업에 진출했다가 2018년말 중단한 적이 있는데,
2년이 조금 넘은 시점에 다시 파운드리 사업에 진출한다고 해서 경쟁력이 크게 올라갈지 개인적으로 의문이 듭니다:
2. 인텔/TSMC/삼성전자 공정 비교
자료출처 : 삼성증권
인텔의 경우 현재 10nm제품을, TSMC와 삼성전자는 5nm제품을 양산하고 있습니다.
인텔의 경우 7nm제품을 2023년에는 되어야 양산을 시작할것으로 전망되는데,
그때가 되면 TSMC와 삼성전자는 이미 3nm제품을 양산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시장에서는 2022년 양산 이야기가 나오고 있습니다)
3. TSMC 공정별 매출액
TSMC의 20년 공정별 매출액을 살펴보면 7nm이하 매출액이 전체의 41%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2019년 7nm이하 제품 매출액이 27%였던 것을 생각하면 미세공정의 매출액이 매년 크게 증가하고 있는 구조 입니다.
* 인텔이 7nm제품을 양산하는 2023년이 되면
TSMC의 주력 공정은 7nm가 아닌 5nm이하로 가있을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자료출처 : 글로벌 이코노믹
TSMC의 경우 올해('21년) 280억달러 (약 31조 원)를 투자할 예정인데,
이는 인텔이 발표한 200억 달러보다 40%나 많은 금액입니다::
앞서가는 선수가 더욱 많은 금액을 투자하는 상황에서 미국정부의 도움이 있다고 해도
기존사업자의 물량을 뺏는데는 한계가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자료출처 : 시킹알파
인텔의 주가는 21.3.25 장중 약 62달러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자료출처 : 시킹알파
TSMC의 미국 ADR (티커:TSM)의 주가는 21.3.25 장중 약 111.99 달러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자료출처 : 네이버
21.3.25 종가기준 삼성전자의 주가는 81,200원을 기록하였습니다.
* 개인적인 기록용으로 매수/매도 추천 글이 아닙니다.
파운드리 시장 자체가 당분간 커질것으로 예상되는바,
시장상황이 어떻게 될지 꾸준히 지켜봐야 겠습니다.
모두들 성공투자 하세요. 화이팅!!
[미국주식#75] 어도비(Adobe) FY21.Q1 실적 및 주가 분석!(feat.언택트 관련주) (0) | 2021.03.27 |
---|---|
[중국주식#19] 텐센트(Tencent) '20.4분기 실적 및 주가분석!(feat.카카오 실적/주가 비교) (0) | 2021.03.26 |
[중국주식#18] BYD(비야디) 주식(주가) 분석!(feat.전기차, 차량용 반도체, 배터리) (0) | 2021.03.23 |
[미국주식#74] FY21.Q3 나이키(Nike) 실적 및 주가 분석!(feat.D2C전략, 배당금) (0) | 2021.03.22 |
[미국주식#74] 미국 온라인 소액대출 1위 이노바 인터내셔널 기업 및 주가 분석!(feat. 금리 상승 수혜주) (0) | 2021.03.20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