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2020.5.30 S&P 500지수 살펴보기 2탄! (feat. GICS분류법, 유틸리티 업종)

투자

by 토리부부 2020. 6. 3. 07:00

본문

안녕하세요. 밤토리 입니다~^^.

지난번 S&P 500지수에 대해서 간단히 살펴봤었는데, 오늘은 GICS 기준 업종 분류와 대표적인 경기 방어업종인, 유틸리티 업종에 대해 간단히 다뤄볼까 합니다!


GICS 분류법 및 유틸리티 업종 살펴보기!

1. GICS 분류법 알아보기!

자료출처 : 한국투자증권 리포트

업종과 산업을 분류하는 방법중 가장 대표적인게 GICS(Global Industry Classification Standard) 분류법이라고 합니다. 위 표에서 보이는것 처럼 총 11개의 업종과 24개 산업군, 69개 산업, 그리고 158개의 하위산업까지 총 4단계 구조로 되어 있다고 합니다.

2. 유틸리티 업종 살펴보기!

자료출처 : 한국투자증권 리포트

유틸리티 업종은 전력, 수도, 가스 등 생산에서 소비까지 필수적인 산업 기반을 제공합니다. 대표적인 경기방어주이며, 초기 대규모 설비투자가 필요하기에 진입장벽이 높은 편입니다.!

하지만 반대로 정부에서 규제를 하기 때문에 다른 산업처럼 수익성을 마냥 높일수는 없습니다^^;

3. 유틸리티 업종 내 산업비중

자료출처 : 한국투자증권 리포트

유틸리티 업종내 비중은 전기가 60% 가량으로 가장 높으며, 그다음은 복합 유틸리티가 33%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수도나 가스의 경우는 전체에서 비중(시가총액 기준)이 미비합니다.

4. 유틸리티 업종 움직임

자료출처 : CNBC

S&P 500 유틸리티 섹터의 경우도 이번 코로나 19로 인해 30%가량 빠졌다가 최근 20%정도 회복을 하였습니다. 유틸리티 업종 = 경기방어주이고 주가하락을 방어해 준다고 하는 정설은 최근 코로나 19 하락장에는 딱 맞지는 않았지만, 다른 산업과는 달리 필수적인 공급요인으로 장기적으로는 안정적이지 않나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4. 유틸리티 ETF

자료출처 : 한국투자증권

유틸리티에 투자하는 ETF중에는 자산총액이나 거래대금이 가장높은 XLU가 대표적 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유틸리티 업종 (Water Utilities) 세부 살펴보기!

지난번에 올렸던 GICS Sector Scorecard를 보다보니, 유틸리티 업종에서 'Water Utilities'가 눈에 확 들어왔습니다. 유틸리티 업종 전체에서 덩치는 작지만 13주 주가 변동폭, YTD, 그리고 2019년 주가 움직임 모두 가장 양호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자료출처 : S&P Global 홈페이지

유틸리티 업종에 투자를 한다는 것은 '안정적인 주가움직임 + 배당수익'을 기대하는 것이고 그렇다면 굳이 덩치가 큰 산업이 아니여도 안정적으로 사업영위가 가능한 'Water Utilites'에 대해서 살펴볼까 합니다.!

1. 미국의 수도산업

미국의 수도산업은 85%의 공공 수도사업자와 15%의 민간 수도사업자로 이뤄져 있습니다. 이 중 공공 수도사업자의 수는 약 24,000개로 지방자치단체와 수도위원회가 운영을 담당한다고 합니다!

미국의 경우 전체 물 사용량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산업용 수요가 크게 증가하여, 지난 30년간 물 사용량이 300% 증가하였다고 합니다.

상수망 연결 인구 비율은 95%이며, 하수망 연결 인구 비율은 77%로 상하수 인프라 수준은 매우 높은편이라고 합니다. 다만, 가장 오래된 배관은 120년이 넘어 뉴욕의 경우 총 공급량의 40%가량이 누수로 낭비가 되고 있다고 합니다.

미 환경보호청은 상하수도 인프라를 위해 2007~2026년 기간 동안 3,350억달러 규모의 투자를 진행중에 있다고 합니다. (계속해서 해당산업에 대한 투자규모가 증가하고 있는 것이 포인트!)

2. 국가별 물 사용량 및 요금

자료출처 : 한국투자증권 리포트

국가별 1인당 물사용량을 살펴보면 일본이 가장 높고 미국이 두번째, 그리고 한국이 세번째 임을 알 수 있습니다. 수도요금은 덴마크, 프랑스 등 유럽이 높은편이고 한국이 가장 저렴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미국의 요금은 유럽보다는 낮지만 물사용량이 많은 일본, 한국보다는 조금 높은 요금 체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3. 대표적인 Water 기업

1) American States Water

자료출처 : 시킹알파

첫번째 기업은 아메리칸 스테이트 워터입니다. 시가총액은 약 29억달러이고, 주당 1.22$의 배당을 지급합니다(시가 배당율 1.5%).

자료출처 : AWR 홈페이지

65년 연속 배당금을 증가시켜온 배당킹 기업으로도 유명하며, 최근 10년간 연평균 8.7%의 배당성장률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2) American Water Works

자료출처:시킹알파

두번째 기업은 아메리칸 워터 웍스 입니다.! 시가총액은 약 224억 달러로 AWR의 약 7.7배 규모이며, 주당 2.2$의 배당을 지급합니다(시가배당률 1.7%).

시가배당률은 AWK가 조금더 높네요.

자료출처 : AWK 홈페이지

Dividend.com 자료에 따르면 11년 연속 배당금을 증가시키고 있으며, 최근 5년간 연평균 10%의 배당성장률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AWK의 경우는 Water Utilities중 S&P 500지수에 유일하게 포함되어 있는 기업입니다.!


간단히 정리하면...

최근 투자의 방향성과 종목에 대해서 고민을 하면서 S&P 500지수와 업종, 산업들을 살펴보고 있습니다.

IT업종의 성장성에는 누구나 의문을 갖지 않겠지만, 주가가 많이 올랐고 포트폴리오 다변화 측면에서는 IT종목 이외에 다른 투자종목을 발굴이 필요하지 않나 싶습니다.ㅎㅎ(요즘 공부하면서 드는 생각은 포트 다변화 = 지수 = S&P 500... 이래서 존보글이 인덱스, 인덱스 했나 싶기도 하구요..;;)

과거에는 많은 배당금을 지급하는 '고배당' 종목에 끌려서 투자를 많이 했었는데 이제는 배당률은 낮아도, 꾸준히 배당을 지속할 수 있는 산업과 기업에 투자를 하려고 합니다 (배당 성장주!)

아직도 포트폴리오를 어떻게 꾸려야 혼란스럽지만... '산업에 대한 성장주 + 배당 성장주' 이런식으로 포트를 구성해볼까 합니다. 물론 마이크로소프트와 같이 둘다 해당하는 종목은 Good 이구요 ㅎㅎ

다음번에는 Water Utilites 기업인 AWK에 대해 자세히 살펴볼게요! 모두들 성공투자 하세요! 화이팅^^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