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밤토리 입니다~^^.
오늘은 S&P 500 지수와, S&P 500 지수를 발표하는 S&P Global에서 공개하는 자료를 간단히 살펴볼까 합니다!
S&P 500지수란?
S&P 500은 500개 대형기업의 주식을 포함한 지수로, 500개의 기업 중 대부분이 미국 기업이다. S&P 500은 지수 자체를 일컬을 뿐 아니라 지수에 포함된 해당 500개 기업 자체를 지칭하기도 한다. (by 위키백과)
1. S&P 500 섹터별 비중
자료출처 : S&P Global 홈페이지
S&P 500지수는 크게 11개 섹터로 구분이 됩니다.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섹터는 IT로 25.7%를 차지하며, 그 다음은헬스케어가 15.4%로 2위, Communication Services가 10.8%로 3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2. S&P 500 상위 10개 종목
자료출처 : S&P Global 홈페이지
우리가 잘 아는 대표종목은 다 들어가 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아마존, 페이스북, 구글. 우리는 전부다 IT기업으로 생각하지만 S&P 500지수 섹터는 IT/Consumer/Communication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이는 S&P Global에서 편의상 나눠놓은 섹터로, 요즘처럼 모든 산업에 진출한 위 대기업들을 하나의 섹터로 묶는 것은 현실에 뒤쳐지는(?) 분류법이 아닌가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ㅎㅎ
IT/금융을 제외한 종목으로는 글로벌 헬스케어기업인 '존슨앤존슨'이 눈에 띄네요!
3. S&P500 투자방법은?
자료출처 : ETF.com
가장 쉬운방법은 미국증시에 상장되어 있는 ETF에 투자하는 것입니다. 많은 분들이 아시지만, 3대 자산운용사가 운용하는 SPY, IVV, VOO중에서 마음에 드는 것으로 고르시면 됩니다.ㅎㅎ
AUM(Asset Under Management, 운용자산규모)를 중요시 여긴다면 SPY. Expense를 중요시 여긴다면 뱅가드(연 0.03%)의 VOO를 고르면 되겠죠? 4등(SPLG)부터는 운용자산규모가 확 작아지니, 상위 3개중에 고르시면 될 것 같습니다.
4. S&P500 최근 10년 움직임
자료출처 : S&P Global 홈페이지
2011년부터 약 10년간 3배가량 오른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많이 오르긴 올랐네요^^.
S&P500 지수를 활용한 산업별 흐름 체크!
1. S&P Global 홈페이지에 접속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S&P Dow Jones Indices를 클릭!
자료출처 : S&P Global 홈페이지
2. S&P 500 지수 검색
우측 상단 검색창에, S&P 500(S&P 한칸띄고 500)을 입력한후 Go버튼 클릭!
자료출처 : S&P Global 홈페이지
3.원하는 정보 클릭하여 다운로드
S&P 500지수 전반적인 사항(섹터별 비중, 상위 종목 등)을 알고싶다면 Factsheet 클릭후 다운받은 자료 확인하시면 됩니다. 그 외 자료를 확인하고 싶으면 Additional Info를 클릭하시고 원하는 내용을 클릭하시면 됩니다.
자료출처 : S&P Global 홈페이지
4. S&P500 GICS Scorecard 다운로드
Additional Info에서 S&P500 GICS Scorecard를 다운로드 받습니다.
자료출처 : S&P Global 홈페이지
S&P 500지수 전체와, 각 섹터별 1주일 가격변동/13주 가격변동/YTD/2019년 가격변동/5년 평균가격증가율 등의 정보를 알수가 있습니다.
YTD(Year to Date)란 올해 첫날부터 현재까지의 수익률을 말하며, CAGR(Compound Annual Growth Rate)란 연평균증가(상승)률을 말합니다.
자료출처 : 미래에셋대우 공식 블로그
1)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섹터
자료출처 : S&P Global 홈페이지
눈에 띄는것은 Interactive Home Entertainment의 5년 CAGR이 18.7프로로 가장 높네요. 코로나 19에도 최근 13주 주가변동이나 YTD가 높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아 앞으로도 더 성장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2) Consumer discretionary 섹터 (자유 소비재)
자료출처 : S&P Global 홈페이지
Department Stores의 경우 YTD가 -63.3프로 입니다. 그 옆을 보면 5yr CAGR(연평균증가률)도 -29.5프로로 Consumer 섹터 10.2프로 대비 낮은 모습을 보이고 있고, 장이 좋았던 2019년에도 -28.2%의 하락을 보였습니다.
이처럼 현재 주가가 많이 빠져있어 가격이 싸보일수 있어도 작년, 그리고 최근 5년 CAGR를 봤을때 Department Stores 관련 주식을 매입하는 것은 위험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3) Consumer Staples (필수 소비재)
자료출처 : S&P Global 홈페이지
개인적으로 눈의 띄는것은 Drug Retail 입니다. YTD도 -32.8프로이며, 5년 CAGR도 -15.6프로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기업 '월그린 부츠 얼라이언스'가 생각나는데, 최근 주가는 약 20년 전인 2000년대 수준에 와있습니다.
시가배당률이 4.6%로 높은편이나 특히 포스트 코로나시대에 경쟁력을 계속해서 유지하기는 어렵지 않을까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자료출처 : investing.com
간단히 정리하면...
기업을 투자할때 여러가지를 살펴봐야 하는데, 특히나 최근에는 코로나 19 여파로 잠시 가격이 빠지고 흔들리는 건지 아니면 해당산업이 이미 하락세로 들어서고 있는지를 잘 살펴볼 필요가 있는 것 같습니다.
가격이 많이 빠졌다고 시가 배당률이 높아졌다고 맹목적으로 투자하는 것은 조심!!(저부터..ㅎㅎ)
자료가 너무 많아 11개 섹터중에서 일단 3개정도만 살펴봤는데, S&P Global 홈페이지에 자주 들어가서 괜찮은 자료 없나 자주 기웃기웃 해봐야 겠습니다.!
모두들 성공투자 하세요! 화이팅!
2020.6.1 연금저축펀드 미국ETF 투자!(2탄)(feat.Arirang 미국 S&P500(H) 등) (0) | 2020.06.03 |
---|---|
2020.5.30 S&P 500지수 살펴보기 2탄! (feat. GICS분류법, 유틸리티 업종) (0) | 2020.06.03 |
2020.5.25 노후 3종세트(국민,퇴직,개인연금) 조회해보기! (feat.통합연금포털) (0) | 2020.05.27 |
20.5.23 키움증권 미국주식 원화주문 서비스!(feat.이용후기) (0) | 2020.05.27 |
'티끌모아 티끌 프로젝트' 시작!(feat.파이어족 되기) (0) | 2020.05.22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