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2020.4.14 디즈니 4만 3,000명 일시해고 & 실업급여 증가세

투자

by 토리부부 2020. 4. 19. 17:37

본문

안녕하세요. 밤토리 입니다~^^

오늘은 하루종일 디즈니 관련 기사가 도배를 하는 것 같습니다. 디즈니월드 전체직원 7만 7천명중에 4만 3천명을 '일시 해고'하며, 최장 12개월 까지는 100% 건강보험료를 부담한다고 합니다.

* 일시 해고는 기업이 인력 감축이 필요할 때 재고용을 약속하고 근로자를 해고하는 제도 (경영상 필요하면 회사는 근로자의 동의 없이 언제든지 활용할 수 있음)

미국의 실업급여는 주정부 최대 26주, 연방정부 39주간 실업수당을 지급 하며 기존에는 주당 평균 385달러씩 지급했지만, 최근 주당 600달러씩 4주간 2400달러를 추가 지급하는 구제 패키지가 통과 되었습니다.

미국의 고용이 유연하다는 것은 알았지만, 이렇게 대규모 인력을 일시해고 할 수 있다니!

기업입장에서는 좋겠지만 근로자 입장에서는 아무리 실업수당을 받을 수 있다고 해도 기간과 금액의 제한. 그리고 혹시나 경기가 계속 나빠져 재고용 되지 못하면 어쩌지 하는 불안함 마음이 들지 않을까 싶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지난달(3월) 실업급여 신청이 60.8만명으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고 합니다.

위 기사의 주된 내용은 아래 두가지 입니다.

1) 올해 3월 구직급여 신규 신청자는 15만6천명, 작년 동월(12만5천명)보다 3만1천명(24.8%) 증가

2) 고용보험 가입자 수의 증가 폭도 약 16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짐

퇴사로 인하여 실업급여는 증가하고 취업감소에 따른 고용보험 가입자 수는 감소하고... 경기가 어려운줄은 알았지만 수치로 보니 더 눈에 와닿습니다. 고용보험 가입자 증가폭도 16년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면, 2008년 금융위기 때보다 취업시장이 더 어렵다는 이야기로 해석 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실업급여 제도는?

자료출처 : 고용보험 홈페이지

실업급여 종류는 구직급여, 취업촉진수당, 연장급여, 상병급여 크게 4가지로 구분 되는데, 대표적인 구지급여에 대해서 간단히 살펴볼까 합니다.

1) 구직급여의 수급 요건 (고용보험법 제40조) : 이직일 이전 18개월간(초단시간근로자의 경우, 24개월) 피보험단위기간이 통산하여 180일 이상일 것

2) 구직급여 지급액 = 퇴직전 평균임금의 60% X 소정급여일수

- 상한액 : 이직일이 2019년 1월 이후는 1일 66,000원

- 하한액 : '19.9월 현재 하한액(1일 60,120원)

* 최저임금법상의 시간급 최저임금은 매년 바뀌므로 구직급여 하한액 역시 매년 바뀝니다.

3) 구직급여의 소정급여일수

연령은 퇴사 당시의 만 나이입니다.

연령 및 가입기간

1년 미만

1년 이상

3년 미만

3년 이상

5년 미만

5년 이상

10년 미만

10년 이상

50세 미만

120일

150일

180일

210일

240일

50세 이상 및 장애인

120일

180일

210일

240일

270일

퇴사시 나이와 가입기간에 따라서 최장 받을 수 있는 기간이 조금씩 차이가 있습니다.

최근 전세계 경기가 너무 안좋은데 코로나 19가 얼른빨리 해소가 되서 개인사업을 하시는 분들이나, 프리랜서 분들이나, 그리고 직장인분들, 취업을 준비하는 분들 모두가 웃을 수 있는 날이 오기를 바래봅니다.! 모두 화이팅!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