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밤토리 입니다~^^
오늘은 중국의 대표 태양광 기업으로 글로벌 1위 웨이퍼, 2위 모듈 제조 및 판매기업인 '융기실리콘자재'에 대해서 간단히 살펴볼까 합니다!
자료출처 : 한우리경제
1. 기업소개
자료출처 : 삼성증권
융기실리콘자재(LONGi Green Energy Technology)는 PV(태양광)산업에서
폴리실리콘을 제외한 웨이퍼, 모듈 등을 제작/판매하는 기업입니다.
자료출처 : 삼성증권
특히 글로벌 웨이퍼 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웨이퍼 생산능력은 매년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자료출처 : 삼성증권
모듈생산의 경우 2019년 글로벌 2위였으나, 2020년 크게 증가하여
1위를 달성 하였을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2. 기업 실적
자료출처 : 삼성증권
지난 5년간 연평균 58%의 매출성장을 기록하고 있으며, 지역별로는 중국이 62%로 가장 높습니다.
제품별 매출을 살펴보면 웨이퍼와 모듈에서 대부분의 매출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자료출처 : 삼성증권
경쟁사와 실적을 비교해봤을때 매출액대비 순이익이 높은편이고,
높은 영업현금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제품가격이 최근 계속 하락하였으나 융기실리콘자재의 경우 비용을 하락시켜 마진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있습니다.
다만, 융기실리콘자재의 경우 지난해('20년)에만 4배 가까이 주가가 상승하여
시가총액이 많이 커진 상황입니다.
3. 산업 성장가능성 (장기트렌드)
자료출처 : 미래애셋대우증권
현재 글로벌 전반의 재생(그린)에너지 수요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중국의 경우 2030년 에너지 소비중 비화석에너지 비중을 25%로
높일것 이라고 밝혀, 수요 증가가 기대되고 있습니다.
4. 리스크 (제품 가격 지속하락) & 기회요인
자료출처 : 미래에셋대우 증권
원재료인 폴리실리콘 뿐만아니라 웨이퍼, 모듈 가격은 매년 큰폭으로 하락하고 있습니다.
잘못하면 치킨게임으로 번질 수 있어 수익성 악화가 우려되기도 합니다.
다만, 가격하락으로 인해 보조금 없이도 태양광 보급이 가능한 수준에 이르고 있어,
규모의 경제 효과를 누릴 수 있는 기업은 결국에는 살아남아 시장을 크게 장악할 수도 있을것 으로 보입니다.
자료출처 : 삼성증권
융기실리콘자재의 경우 타 기업대비 R&D비용을 지속적으로 늘려가고 있습니다.
자료출처 : 네이버
지난 '21/1/15일 종가기준 주당102.35 위안을 기록하였습니다.
최근 주가가 많이 오르긴 올랐네요..;;
최근 미국, 중국, 유럽 등 많은 국가에서 탄소중립을 추진하기 때문에
태양광 산업 및 주요기업들 실적을 지속적으로 잘 살펴봐야 겠습니다.
모두들 성공투자 하세요. 화이팅!
[CES2021 Review] 코로나19가 가속화시키는 초효율성의 시대(feat.GM, 인텔, 마이크로소프트 주식) (0) | 2021.01.19 |
---|---|
[증권회사#9] 한국투자증권 국내주식 이체출고 방법! (0) | 2021.01.18 |
[미래에셋 유튜브 시청후기] Part 2. 그린에너지/이커머스.게임/바이오 (feat. 아마존&쇼피파이, 텐센트, 항서제약 주식) (0) | 2021.01.16 |
[미래에셋 유튜브 시청후기] Part 1. 반도체/클라우드/전기차 (feat. 엔비디아, 알리바바, 테슬라 주식) (0) | 2021.01.15 |
[미국주식#49] TSMC 주식 '20.4분기 실적발표 분석! (feat. 삼성전자 주가 및 실적비교) (0) | 2021.01.14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