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미래에셋 유튜브 시청후기] Part 2. 그린에너지/이커머스.게임/바이오 (feat. 아마존&쇼피파이, 텐센트, 항서제약 주식)

투자

by 토리부부 2021. 1. 16. 23:24

본문

안녕하세요. 밤토리 입니다~^^

오늘은 어제에 이어 미래에셋 유튜브 Part2 그린에너지/이커머스.게임/바이오 내용에 대해서 간단히 정리해 볼까 합니다~!!

주식투자 하시는 분들은 시간내셔서 풀 영상을 꼭 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Part2 주요 내용!

1. 그린에너지

탄소중립 추진을 미국, 중국, 유럽, 일본, 우리나라 등에서 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ESG 펀드에 많은 자금이 유입되고 있다.

* 탄소중립 : 배출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대책을 세워 실질적인 배출량을 '0'으로 만든다는 개념

또한, 재생에너지의 단가는 점점 하락하여 '그리드 패리티' 에 거의 임박하였으며,

중국의 경우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 시장에서 세계 1위를 달리고 있다.

* 그리드 패리티 : 신재생 에너지 발전원가가 화석연료 발전원가와 같아지는 시점

대표적으로 중국의 '융기실리콘자재(세계 최대 태양광 웨이퍼 업체)' 가 있다.

* 개인(밤토리) 의견 : '그리드 패리티'에 임박했다고 하니 앞으로 탄소중립 이슈가 더욱 가속화 될것 같아, 해당분야에 대해서 관심을 가지고 스터디를 해야겠다.!

2. 이커머스.게임

자료출처 : 조선일보

코로나 19 이후, 온라인 판매를 하지 않았던 중소판매업자도 많이 유입되어 '트랜드'는 형성 되었다고 본다.

다만, 지난해('20년)만큼 올해('21년) 추가적인 성장이 가능할 것인지,

계속해서 온라인에서 사람들이 구매할 것인지는 지켜볼 필요가 있다.

특히, 쇼피파이(중소 판매자의 온라인 판매를 지원)가 크게 성장하였는데

최근 아마존이 제공하는 '풀필먼트(이커머스 전과정 제공 물류시스템)' 서비스를 구축중에 있어,

아마존을 위협할 수 있는 회사다.

* 개인(밤토리) 의견 : 아마존의 경쟁력은 '풀필먼트' 를 통한 빠른배송, 그리고 아마존 프라임 가입에 따른 기타 혜택을 누릴수 있다는 것인데 쇼피파이가 이 생태계를 아마존과 같이 빠르게 구현할 수 있을지 개인적으로는 의문이다 (아마존에 입점하는 셀러가 대체재가 아닌 보완재 성격으로 이용하지 않을까)

자료출처 : 조선일보

참고로, 2019년 11월 나이키는 탈 아마존을 선언하고 소비자 직거래 판매 방식인

'D2C(Direct to Consumer·DTC)'에 주력하였고, 매출액이 전년대비 상승하였습니다.

나이키와 같이 브랜드 경쟁력이 있는 대형기업의 경우는 가능해도,

중소판매자의 경우는 D2C 혹은 쇼피파이만을 이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지 않을까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자료출처 : 미래에셋 스마트머니 유튜브

이제는 게임은 단순히 안에서 플레이 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활동이 가능한 '엔터테인먼트 포탈'로 봐야 한다.

과거에는 단순히 게임가격을 책정하여 판매하였지만

지금은 오랜시간 체류하게 만들어 ARPU(가입자 1인당 평균 매출)을 늘려가고 있다.

게임의 플랫폼화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텐센트 보다는 모바일, PC, 콘솔까지 커버할 수 있는

'북미게임사(블리자드, EA)'가 유리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미래에셋 애널리스트 의견)

* 개인(밤토리) 의견 : 게임의 플랫폼화야 말로 '텐센트'에 가장 어울리지 않나 개인적으로 생각한다. 텐센트의 경우 게임, 소셜미디어(위챗), 뮤직/동영상 스트리밍 등 다양한 분야에 사업을 추진하고 있어 시너지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지 않을까?

3. 바이오

자료출처 : 미래에셋 스마트머니 유튜브

중국의 바이오 의약품 시장 규모는 점점 커지고 있다.

과거에는 중국에서 미국, 유럽의 오리지널 약을 먹었지만

'18년부터 바이오 시밀러가 출시되면서 오리지널 약값의 30% 수준으로 이용이 가능해 졌다.

바이오 시밀러 뿐만아니라 DNA, 셀쪽도 '16년부터 미국과 조인트벤처를 하면서

기술수준이 상당히 올라와 있다.

또한, 안전성 & 유해성 데이터를 보면 글로벌 기업들과 필적하며,

오히려 중국의 경우 인구가 많아 테스트를 더욱 다양하게 할 수 있다.

개별종목으로는 항서제약이 시총 20위권 안에 진입하였다.

* 화이자, 존슨앤존슨의 경우 과거부터 특허약품을 계속판매하고

특허만료시 신약을 출시하여 이를 메꿔 성장하고 있다.

(연간 4~5% 수준에서 성장, 안정적인 배당 매력 있음)

* 박현주 회장 코멘트

1) 중국정부가 일반약(처방약) 가격을 다운시킨 이후, 기업들이 생존을 위해 신약.바이오시밀러로 진출하였다.

2) 중국정부의 정책이 중요한데, 바이오는 중국의 국책 사업이다.

3) 바이오 한종목을 사는건 잘 모르겠지만, 글로벌하게 보면 고령화로 헬스케어 섹터는 성장할 수 밖에 없다.

* 개인(밤토리) 의견 : 중국은 과거부터 카피를 잘했는데 시간이 지날수록 '카피 + 혁신'을 이뤄내는 기업이많았다. 바이오 분야야 말로 바이오시밀러로시작 해서 신약 개발등 글로벌 기업들을 충분히 따라잡을 수 있을것 같다. (+큰 내수시장은 아무리 생각해도 매력적이다)

자료출처 : 연합뉴스

중국에서 원격진료를 하는 대표회사로 '핑안헬스케어'가 있는데 코로나19로 인해 크게 성장하였다.

* 박현주 회장 코멘트 : 중국병원에 가보면 알지만 인구가 많아 병원인프라가 따라 갈수가 없다

(중국은 원격진료 방향으로 갈것)


박현주 회장 투자 인사이트!

(feat.밤토리 생각)

1. 지수보다는 트렌드 투자

자료출처 : 미래에셋 스마트머니 유튜브

지수보다는 트렌드를 보고 투자하는것이 좋으며,

월급의 20% 수준에서 매월 적립식으로 기계적으로 투자하라.

2. 우량주 장기투자

자료출처 : 미래에셋 스마트머니 유튜브

우량주 장기 투자가 답이다.

종목에 대해서 너무 확신을 갖지는 말아야 한다.

자신의 판단이 틀릴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분산이 필요하다.

3. 원칙을 지키는 투자

자료출처 : 미래에셋 스마트머니 유튜브

원칙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종목에 대한 확신보다는 장기트렌드를 보는 게 좋다.


이번에 미래에셋 유튜브를 보면서 느낀점은 좀더 호기심을 가지고

다양한 산업, 기업에 관심을 가져야 겠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개인적으로 기업의 주식을 사기전에

박현주 회장이 말했던 아래 3가지는 꼭 생각하며 투자에 임해야 겠습니다.

1) 혁신기업에 투자해라

2) 장기트렌드를 보고 투자해라

3) 원칙을 지키면서 투자해라

모두들 성공투자하세요. 화이팅!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