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밤토리 입니다~^^.
오늘은 많은 직장인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연금저축펀드(개인연금) 포트폴리오에 대한 고민을 기록해 보려고 합니다.
이번에 토리부부 연금저축펀드 포트폴리오를 간단히 공개하는데요. 자랑할 만한 수익률/금액이 아니여서 간단히 글만 쓸까 고민했지만.. 많은 분들이 꾸준히 연금에 불입해서 노후자산을 만들었으면 하는 바람으로 몇 자 적어봅니다!
토리부부's 연금저축펀드 포트폴리오
1. 연금계좌 1
제가 운영하는 연금계좌는 미국 주식 60 : 미국채 20 : 현금 20 비율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있습니다.
처음에 제(밤토리) 계좌는 S&P500 / 아내(도토리) 계좌는 나스닥 100 을 사는것으로 계획했는데, 최근 나스닥의 상승세가 무섭고 장기적으로도 괜찮을 것 같아 투자금액이 조금 더 큰 제 계좌에도 나스닥100 비중을 조금씩 늘리고 있습니다.
* 장기적으로는 미국 주식 60의 큰 틀을 유지하되, 이 안에서 나스닥 100 / S&P 500을 배분하여 구성하려고 합니다.
블로그를 통해 S&P500 투자하는 ETF 중에서 어떤것이 좋은지 물어보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각자 바라보는 기준이 다를 수 있어서 뭐라 언급드리기 어렵지만, 개인적으로 과거에는 ARIRANG 미국S&P500(H)를 매수했었고, 최근에는 TIGER 미국 S&P500선물(H)를 매수하고 있습니다.
* S&P500 ETF중 어떤것을 선택하시든 큰 차이는 없을 것 같아요.
총매입금액 기준 수익률은 약 9.63% 이며, 전체 투자금액 기준으로는 수익률이 7.6%로 약 2%가 하락합니다.
현금 비중을 얼마로 두느냐에 따라서 수익률은 변동될 수 있으니 개인의 성향껏 비중조절 하시면 될것 같아요.!
2. 연금계좌2(도토리)
아내가 운영하는 연금계좌는 현금없이 미국주식 70 : 미국채 20 : 기타주식 10 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했습니다.
* 장기적으로는 미국주식(나스닥 100%) 60 : 미국채 20 : 현금20 으로 맞춰보려고 계획 중입니다.
최적 포트폴리오 구성을 위해서 이것저것(베트남, 부동산인프라) 넣어봤는데 심플하게 미국으로만 구성하는게 낫다는 결론을 내려서, 베트남과 부동산인프라는 정리할 계획입니다.
해당 계좌는 현금이 없기에 총수익률 17.84%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연금저축펀드 포트폴리오 운영에 대한 생각
1. 불입 방법 및 금액
사회초년생 분들이나 직장을 조금 다니신분들 모두 연금계좌에 얼마를 넣을까가 가장 큰 고민일 텐데요. 저는 개인적으로 연금저축펀드 계좌는 최대한 빨리, 그리고 금액은 연말 세액공제를 Full로 받을 수 있는 연 400만원 한도를 채우는걸 추천드립니다.
개인적으로 생각하고 바라보는 관점이 달라서 정답은 없지만... 해당금액을 별도 주식계좌로 운영했을때 추후에 여러가지 이유로 주식을 매도하고 해당금액을 인출을 할 수가 있습니다.
하지만 연금저축펀드의 경우 세액공제를 받아버리면 나중에 뱉어내야 하기에 쉽게 해지를 못합니다. 그래서 강제로 묶어두는 성격이 있어 저는 노후 대비를 위해 일찍부터 연 400만원(가능하면 매월 33만원씩 불입)을 꽉 채우시는걸 추천 드립니다.
2. 투자상품 선택
일반 주식계좌만큼 다양하게 투자종목을 고를수는 없지만 투자할 수 있는 ETF가 점점 많아지기에 큰 문제는 없어 보입니다.
저같은 경우에는 일반 주식계좌는 개별종목 위주로 매수, 연금계좌에서는 미국지수 인덱스(나스닥, S&P5p00)+ 미국채 ETF 조합을 가져 갑니다.
코스피를 넣을 수도 있고, 중국을 넣을 수도 있고, 베트남을 넣을 수도 있고, 금을 넣을 수도 있고... 상품은 정말 많지만 장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매수하기 위해서는 투자상품의 숫자가 적고 심플한 것이 좋은 것 같아요.
그러면 장기적(20년 이상)으로 봤을때 안정적으로 우상향하는 국가를 생각해 보면 미국이 아닐까 싶어서 저는 미국으로만 상품을 선택 했습니다.
3. 포트폴리오 구성 및 리밸런싱
코로나19로 인한 하락장 때 개인연금 1(밤토리 계좌)은 마음의 평화(!)와 투자 기회 측면에서 포트폴리오를 리밸런싱 했습니다.
연금계좌는 20년이상 묵혀둘거니 채권 없이, 현금없이 주식ETF로만 100% 매수하는 분들도 계실텐데, 저 같은 쫄보는 채권이 없으면 언제 어떻게 될지 몰라 마음이 불안하더라구요..ㅎㅎ
또한, 코로나 19로 인한 하락장 때 현금이 없으니 일반 주식계좌랑 달리 추가 불입도 어렵고, 가격은 계속 떨어지는데 할 수 있는 조치방법이 별로 없었습니다 ㅠㅠ
그래서 장기적으로 투자하는 연금계좌지만 하락장에 대비해서 20% 수준의 현금은 보유하기로 결정했습니다.
결론적으로 주식 60 : 채권 20 : 현금 20 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니 주가가 올라도 좋고, 떨어져도 크게 신경이 쓰이지 않더라구요^^
* 다만 전체 투자금액이 1,000만원 이하로 크지 않을때는 매월 불입하는 금액으로 어느정도 커버가 되니 현금없이 포트폴리오를 구성해도 괜찮은 것 같아요.
일반 주식계좌도 그렇지만 연금저축펀드(개인연금) 계좌도 동일한 것 같아요. 본인만의 원칙을 가지고 투자를 지속할 것인지 결정하고, 잦은 매매가 아닌 꾸준히 모아나가는 투자를 실행할 것.
이것만 지키면 노후에 모두들 웃으면서 생활 할 수 있지 않을까요? ㅎㅎ
오늘 포스팅은 매우 개인적인 내용이고, 정답도 아니며 부족한 부분도 물론 아주 많습니다. 다만 많은 분들이 상품이나 연금계좌 운영에 대해서 궁금해 하거나 어려움을 느끼시는 것 같아서 간단히 적어 봤습니다.
좋은 투자 전략이나 성공, 실패 경험담이 있으시면 저에게도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모두들 성공투자하세요. 화이팅!
[유럽주식#16] 글로벌 NO.1 뷰티기업 로레알 주식(주가) 분석! (0) | 2020.08.17 |
---|---|
#3. 아이 주식계좌 증여세 신고 & 주식 매수! (0) | 2020.08.14 |
고려아연 주식(주가) 분석!(feat.배당) (0) | 2020.08.10 |
카카오 주식(주가) 분석!(feat.'20년 2분기 실적) (0) | 2020.08.07 |
프랑스 명품 에르메스 주식 '20.상반기 실적 분석 (0) | 2020.08.04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