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중국주식#11] 2021년 중국증시 투자환경 분석! (feat. 귀주모태주, 비야디(BYD), 중국중면)

투자

by 토리부부 2021. 1. 13. 21:15

본문

안녕하세요. 밤토리 입니다~^^

오늘은 2021년 중국증시 투자환경 및 주요 산업(기업)에 대해서 간단히 살펴볼까 합니다~!!


중국 투자환경 분석!

1. 2021년 성장정책

자료출처 : DB금융투자

중국 국무원 관세위원회는 21년 883개 상품에 대해 수입 관세를 인하하였으며,

소비활성화를 위한 정책에 집중하고 있다고 합니다.

또한, 외국인들이 투자할 수 있는 산업은

127개가 늘어난 1,235개 항목으로 확대되었다고 합니다.

* 특히, 신소재, IT, 의료기기, AI집적회로 등이 추가로 확대

자료출처 : DB금융투자

중국내부 소비시장 & 외국인이 투자하는 산업(기업)에 관심을 가져야 겠습니다!

2. 위안화 강세 / 외국인 자금 유입

 

자료출처 : DB금융투자

20년 7월이후 위안화는 달러대비 지속적으로 강세를 보이고 있으며,

외국인 자금은 구이저우마오타이(귀주모태주, 백주 제조회사) 등

중국내부 소비시장 기업에 유입되고 있다고 합니다.

3. 중국증시 회복

자료출처 : DB금융투자

상해증시의 경우 2007년 6,000포인트에 근접,

지속 하락후 2015년에 4,600포인트까지 회복하였다가

다시 하락한후 최근 3,500포인트를 돌파 하였습니다.

특히 2020년의 경우 A주 펀드 신규발행이 최고치를 달성할 정도로 자금유입이 많았습니다.

* 미국, 한국 등이 신고점을 경신한 것을 생각하면

상대적으로 중국증시는 아직까지 상승여력이 많아 보입니다.


주요 산업 및 기업 살펴보기!

1. 백주

자료출처 : DB금융투자

중국에는 5대 백주업체가 있는데 구이저우마오타이, 우량예(五粮液),

양허(洋河), 루저우라오자오(泸州老窖), 펀지우(汾酒)라고 합니다.

* 이들 5대 업체는 백주 상장기업 18개 총 매출의 80%를 차지

특히, 중국 대표 백주업체 구이저우마오타이의 경우

생산에서 출하까지 3년에서 5년 걸리고 원자재 소모량도 많아

생산량을 대폭 늘리기 어려운 구조를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자료출처 : 네이버

중국 상하이와 선전거래소에 상장된 기업은 4,100개 정도인데,

이 중 시가총액 1위 기업은 백주를 만드는 구이저우마오타이(귀주모태주) 라고 합니다.

특히, 2020년 귀주모태주의 주가도 크게 상승하였는데,

내수경기가 회복되면서 고급 백주 시장이 성장할 것이란 기대감이 작용한것으로 보입니다.

* 20년 매출액 및 순이익은 전년대비 10% 증가, 영업이익률은 46% 수준

2. 자동차

자료출처 : DB금융투자

중국 소매판매에서 가장큰 비중을 차지하는것이 자동차(전체의 27%) 인데,

코로나를 빠르게 회복하면서 자동차 판매량도 크게 증가하였습니다.

자료출처 : DB금융투자

특히, 중국정부에서 신에너지차 위주의 정책을 강하게 추진하면서

신에너지차의 판매 비중이 매년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자료출처 : DB금융투자

테슬라의 경우 코로나 상황에서도 구매할려는 중국인들로 매장이 북적였다고 하는데,

현재 주가에 많이 반영되어 있는만큼 중국에서의 시장점유율/판매량을

지속 체크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자료출처 : 하나금융투자

20년 10월 누적판매량 및 시장점유율을 살펴보면

BYD가 1위, 테슬라가 2위를 기록 하였습니다.

BYD 모델 '한'의 경우 20년 11월 1만대를 돌파하며

니오, 리오토, 샤오펑을 크게 앞지르는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3. 사치품

자료출처 : DB금융투자

전세계 사치품 시장에서 가장 큰 손은 누가뭐래도 단연 중국입니다.

특히, 2020년의 경우 코로나19로 인해 많은국가들의 사치품 소비가 감소하였지만

중국의 경우는 이러한 상황에서도 전년대비 규모가 약 48% 증가하였습니다.

* 중국의 세계 명품 시장 점유율은 2019년 11%에서 2020년 20%로 약 두 배 증가

자료출처 : cnbc.com

사치품(명품) 시장의 3대장,

케링(파랑), LVMH(초록), 에르메스(주황)의 20년 주가추이를 비교해 보면,

주가상승으로는 에르메스가 1위, LVMH가 2위, 케링(구찌)이 3위를 기록하였습니다.

2020년도 괜찮았지만 2021년은 중국의 내수활성화로

개인적으로 더욱 기대가 되는 종목들 입니다.

4. 면세점

자료출처 : DB금융투자

작년(20년)부터 중국정부에서는 하이난성을 '세계 면세쇼핑 천국' 으로 만들기 위해

많은 면세점을 허가하고, 하이난성 내국인 면세 구매 한도와 품목을 넓히는 등

면세점 지원 정책을 적극 마련하고 있다고 합니다.

자료출처 : 아주경제

하이난성의 경우 중국최남단에 위치해 있는데 중국정부에서는

제2의 홍콩으로 만들려고 전폭적인 지원을 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에 힘입어, 작년(20년) 코로나19로 인해 글로벌 면세 산업이 큰 타격을 받았음에도

하이난성 면세산업은 홀로 성장세를 보여, 매출액 규모는 2배 이상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자료출처 : DB금융투자

중국중면은 중국 면세 산업 시장점유율 90%를 자랑하는 1위 업체로,

팬데믹 여파로 작년(20년) 1분기 적자를 기록했지만

2분기부터 회복세로 돌아서면 주가가 크게 상승하였습니다.

특히, 중국중면은 하이난 지역 면세 매출을 과점하면서 높은실적을 올리고 있는데다

하이난을 자유무역항으로 키우고 싶어 하는 중국 정부 계획의 수혜를 받아 전략적 성장하고 있습니다.

* 하이난성의 성장 뿐만아니라 코로나19이후 해외여행이 다시금 활발해 진다면

중국중면의 실적은 더욱 좋아질 것으로 예상됨


간단히 정리하면...

중국정부의 정책, 그리고 주요산업(기업)에 대해서 살펴보니

현재 상황에서 타 증시에서 비해 굉장히 매력적인라는 생각이 드네요.

자료출처 : DB금융투자

중국의 대표기업들이 속해 있는 '마오20지수' 라는것도 이번에 처음 알게되었는데,

중국투자에 관심있는 분들은 해당종목에 대해서 스터디 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 해당글은 개인적인 기록용으로 투자 추천글이 아닙니다.

모두들 성공투자 하세요. 화이팅!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