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밤토리 입니다~^^
오늘은 신용평가 사업 등을 운영하는 S&P Global에 대해서 살펴볼까 합니다.
S&P Global은 어떤회사?
S&P 글로벌(S&P Global Inc.)은 1917년 창립된 미국 뉴욕에 본사를 둔 기업으로써 금융 서비스 기업이며, 크게 아래 4가지 사업부문 및 자회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1. S&P Global Ratings -> 신용평가 수행
(전체 매출액의 45%)
2. S&P Global Market Intelligence -> 데이터 관리, 신용리스크 솔루션 및 리서치 제공
(전체 매출액의 30%)
3. S&P Dow Jones Indices -> 다양한 종류의 글로벌 인덱스 제공 (전체 매출액의 13%)
4. S&P Global Platts -> 상품 및 에너지 시장의 벤치마크 가격 및 정보 제공
(전체 매출액의 12%)
1. S&P Global Ratings (신용평가)
자료출처 : S&P Global 홈페이지
전세계 정부, 기업, 금융기관 등 모두 S&P Global Ratings의 고객입니다.
위 화면은 최근 7일동안 한국의 Rating 실적을 조회해 보았는데 현대캐피탈, 신한은행, 남동발전이 나오네요.
* S&P Global의 경우 무디스, 피치와 함께 3대 신용평가사로 글로벌시장에서 채권을 발행하기 위해서는 글로벌 신용평가사의 신용평가 등급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자료출처 : S&P Global 홈페이지
신용평가 사업의 실적을 살펴보면 신규 신용평가 수수료와 기존 유지수수료의 비율이 비슷하며, 영업이익률은 매년 증가하여 19년에는 57%를 기록하였습니다. (매출도 높지만 영업이익률이 참 높습니다.ㅎㅎ)
* Transaction revenue란 신규 신용평가에 따른 수수료 수입을 말하며, Non-은 기존 신용평가를 유지하는데 들어가는 연간 수수료 등을 말함
2. S&P Global Market Intelligence (데이터/리서치)
자료출처 : S&P Global 홈페이지
상업은행이나투자은행 등에 데이터 관리 솔루션, 신용리스크 솔루션 및 리서치를 제공하며 수익을 얻습니다.
자료출처 : S&P Global 홈페이지
매출액의 97%가 구독매출에서 발생하며, 영업이익률은 매년 소폭상승하여 19년에 31%를 기록하였습니다.
* 대부분 개인이 아닌 회사에서 구독을 하기 때문에 안정적인 수익창출이 가능
3. S&P Dow Jones Indices (글로벌 인덱스)
자료출처 : S&P Global 홈페이지
우리가 흔히알고 있는 S&P500 등 S&P 이름이 들어간 지수는 다 S&P Global에서 만들었다고 보면 됩니다.
자료출처 : S&P Global 홈페이지
ETF, 뮤츄얼 펀드 등으로 부터 받는 지수관련 수수료(Asset-linked fees)가 67%로 대부분을 차지하며, 영업이익률은 신용평가 사업보다 높은 69%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 S&P Global에서 발표하는 지수를 추종하는 상품이 많아질 수록 수수료 수입은 증가
4. S&P Global Platts (상품/에너지 정보)
자료출처 : S&P Global 홈페이지
상품 및 에너지 시장의 벤치마크 가격과 정보를 독립적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자료출처 : S&P Global 홈페이지
구독매출이 92%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영업이익률은 52%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S&P Global 재무정보 요약!
1. 매출액
자료출처 : S&P Global 홈페이지
매출액은 매년 소폭 상승하고 있으며, 특히 영업이익과 순이익이 19년에 10% 이상 상승하였습니다.
자료출처 : S&P Global 홈페이지
타입별 매출액을 살펴보면 구독매출이 43%로 가장 높고, 지역별로는 미국이 59%로 가장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2. 영업이익
자료출처 : S&P Global 홈페이지
영업이익 공헌 1등은 Ratings(신용평가)로 전체이익의 54%를 차지하고 있으며, Indices(지수)가 약 2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3. 배당금
자료출처 : S&P Global 홈페이지
2000년 분기당 0.1175달러 지급을 시작으로 매년 꾸준히 배당을 늘려 2020년 분기당 0.67달러를 지급하고 있습니다.
* 연 배당금 2.68달러로 20/7/31기준 시가배당률 0.76% 기록 (매년 3,6,9,12월에 지급)
20.2분기 실적 분석!
1. 20.2분기 실적요약
자료출처 : S&P Global 홈페이지
매출액은 전년동기대비 14%, 영업이익은 31% 증가하였습니다.
영업이익률은 4.1%p 상승하였으며, EPS는 무려 40%가 증가하였습니다.
* 코로나 19가 무색한 어닝 서프라이즈 실적이네요.!
2. 글로벌 채권발행 증가
자료출처 : S&P Global 홈페이지
20년 1분기, 2분기 모두 글로벌 채권발행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특히 코로나19로 인하여 현금흐름이 부족한 탓인지 Corporates(기업) 부분의 발행이 크게 증가하였습니다.
* 국가별로는 미국이 57% 증가, 그다음은 유럽이 36% 증가
3. Ratings(신용평가) 이익 증대
자료출처 : S&P Global 홈페이지
앞서 살펴본 글로벌 채권발행이 크게 증가하면서 Ratings(신용평가) 부분의 매출과 영업이익이 다른 사업부문과 비교했을때 큰폭으로 상승하였습니다.
S&P Global 투자(체크) 포인트!
1. 비금융기업 회사채 발행 증가
자료출처 : 삼정 kpmg
2008년 금융위기때와 비교해 보면 비금융기업의 회사채 발행 잔액은 약 2배가량 증가하여 사상 최대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2. 3년 이내 대규모 만기도래
자료출처 : 삼정 kpmg
3년 이내 상환해야 하는 비금융기업 회사채 규모는 발행잔액의 32.6%를 차지하는 4.4조 달러 규모로 과거 전례가 없을 정도로 높은 수준입니다.
3. 코로나19로 인한 채권발행 급증
자료출처 : S&P Global 홈페이지
19년 말까지도 전례없는 채권발행 규모를 자랑했지만, 20년 코로나19로 인하여 비금융기업의 회사채 발행이 폭발적으로 증가하였습니다.
간단히 정리하면...
자료출처 : cnbc.com
S&P Global의 경우 나스닥 시장에 SPGI라는 티커로 상장되어 있으며, 주가는 약 350달러 시가총액은 84.4B 달러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한 기업들의 어려움 및 만기도래 규모를 봤을때 몇년간 채권발행 규모가 줄기는 어려울 것 같아, S&P Global의 실적 또한 향후 몇년간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전세계적으로 부채의 규모가 점점 증가하는 모습을 보니 개인적으로 우려스러운 부분도 있습니다.
코로나 19로 인하여 어려움을 겪는 기업들이 하루빨리 회복하였으면 좋겠습니다.
모두들 성공투자 하세요. 화이팅!!
카카오 주식(주가) 분석!(feat.'20년 2분기 실적) (0) | 2020.08.07 |
---|---|
프랑스 명품 에르메스 주식 '20.상반기 실적 분석 (0) | 2020.08.04 |
케링(Kering, 구찌) 주식 '20.상반기 실적 분석 (0) | 2020.07.30 |
LVMH(루이비통 그룹) 주식 '20.상반기 실적 분석 (0) | 2020.07.28 |
#2. 아이 주식계좌 증권사 비교!(feat.키움증권 수수료) (0) | 2020.07.26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