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2020.7.12 세계파운드리 1위 TSMC 주식(주가) 분석!(feat.삼성전자 주가, 배당금)

투자

by 토리부부 2020. 7. 21. 21:33

본문

안녕하세요. 밤토리 입니다~^^.

오늘은 반도체 시장과 파운드리1위 기업인 대만의 TSMC를 간단히 살펴보겠습니다!


TSMC는 어떤회사?

1. 비메모리(시스템) 반도체 회사

비메모리(시스템) 반도체 회사는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됩니다.

1) 종합 반도체 업체(IDM)

- 제품 설계부터 완제품 생산까지 모든 분야를 자체 운영

- 대표기업 : 인텔, 삼성전자

2) 반도체 설계 업체(팹리스·Fabless)

- 제조 공장 없이 설계 기술만을 담당

- 대표기업 : 애플, 구글, 화웨이, 퀄컴, AMD, 엔비디아

3) 파운드리(Foundry) 업체

- 팹리스 업체가 설계한 도면(아이디어)을 받아 반도체를 위탁 생산

- 표기업: TSMC(대만), 글로벌파운드리(미국), SMIC(중국)

* 비메모리(시스템) 반도체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반도체(ex)D램)와는 달리 정보처리에 쓰이는 반도체(ex)CPU)를 말하며, 전 세계 반도체 시장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2. 파운드리 회사 (고객제품 제조)

자료출처 : TSMC 홈페이지

1987년 대만에 설립되었으며 고객의 제품제조에만 중점을 둔 파운드리 비즈니스 모델을 개척한 회사입니다.

2019년 기준 272개의 서로다른 기술과, 499명의 고객사를 두고 있으며, 10,761개의 서로 다른 제품을 생산하는 세계 최대 반도체 파운드리입니다.

애플 아이폰의 등장으로 스마트폰 시대가 열린 것이 TSMC에 결정적 계기가 됐으며,

스마트폰의 심장으로 불리는 AP(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를 위탁 제조하면서 비약적으로 성장했습니다.

자료출처 : CNBC.com

공식 사명은 ‘대만반도체제조회사(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이며,

미국 뉴욕증시에 TSM 이라는 티커로 상장되어 있습니다.(TSMC 시가총액이 삼성전자를 뛰어넘었네요!)

* 20/7/10(금) 종가기준 주당 $63.85를 기록하고 있으며, 시가총액은 $331.1B(약 397조 원)

3. 시장점유율 1위 (기술도 1위)

 

자료출처 : 트렌드포스, TSMC 홈페이지

20년 2분기 파운드리 시장점유율을 보면 TSMC가 51.5%로 압도적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삼성전자는 18.8%로 그 뒤를 따르고 있습니다.

반도체에서 중요한 공정기술의 경우도 현재 5nm(나노미터) 까지 양산에 돌입하였으며, 숫자가 낮은 공정을 적용할수록 웨이퍼 한 장당 더 많은 칩을 뽑아낼 수 있고 전력효율과 성능까지 잡을 수 있다고 합니다.

* 파운드리 시장 3위인 글로벌파운드리는 지난해('19년) 7나노 이하 공정 기술 개발을 포기할 정도로 많은 비용과 정교한 기술이 요구되는 분야입니다.


TSMC 실적 살펴보기!

1. 사업부별 매출액

자료출처 : TSMC 홈페이지

사업부별 매출액을 살펴보면 스마트폰부분이 절반가량 차지하고 있으며, 고성능 컴퓨팅 부분이 약 30%로 그 뒤를 따르고 있습니다.

앞으로 데이터센터 수요가 크게 증가하면 HPC(고성능 컴퓨팅) 부분의 매출액이 스마트폰과 비슷해 지지 않을까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2. 지역별 매출액

자료출처 : TSMC 홈페이지

지역별 매출액을 살펴보면 북미가 56%로 1위, 중국이 22%로 그 다음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미-중 무역전쟁에 따라 중국 대표고객인 화웨이에 제품을 판매하지 않을 경우 중국매출이 대폭 하락할 것으로 예상됩니다.(화웨이의 경우 전체 매출액의 약 14%를 차지하고 있다고 합니다)

3. 20년 1분기 실적

자료출처 : TSMC 홈페이지

매출액 : US$ 10.31B

- 전년동기대비 45.2% 상승

영업이익 : US$ 4.3B

- 전년동기대비 100% 상승(영업이익률 41.4%)

4. 20년 월별 매출액

자료출처 : TSMC 홈페이지

20년 2분기 공식실적은 7월 16일 발표 예정이나, TSMC에서 발표한 6월달 매출액을 보면 크게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6월달 매출액은 1208억7800만 대만달러(한화 약 4조9282억원)로 전월대비 28.8%, 전년동월대비 40.8%가 각각 늘었으며,

올해 상반기 실적은 6213억 대만달러로 전년동기대비 35.2% 증가했습니다.

* 매출액 증가 요인 : 코로나로 데이터 센터 수요가 늘면서 구매가 증가, 화웨이가 선주문을 통해 재고확보


TSMC 투자 포인트!

1. 진입장벽이 높은 파운드리시장

자료출처 : 서울경제

최근 애플이 CPU를 인텔에서 공급받지 않고 직접 개발하겠다고 발표했었는데, GPU 또한 동일한 흐름으로 갈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로써 기존 CPU, GPU 시장에 우위를 공고히 했던 인텔, AMD, 엔비디아는 일부 타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 구글이 자체 모바일 AP를 개발하면서 퀄컴이 만들던 모바일AP 시장도 치열한 경쟁이 예상

펩리스 업체끼리 경쟁은 점점 치열해 지고 있는데, 이들이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서 찾아오는 곳은 결국 TSMC입니다.

따라서 TSMC의 높은 진입장벽은 펩리스 업체보다 매력적으로 다가옵니다.

2. 코로나 19 이후 데이터 트래픽 증가 (데이터센터 수혜주)

자료출처 : 삼성전자

TSMC 2분기 실적에서 살펴봤듯이 코로나 19 이후 데이터 사용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이에 따라 데이터센터 수요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이는 데이터센터를 구축하고 공급하는 클라우드 업체도 이익을 얻지만, 데이터 센터에 들어가는 반도체를 생산하는 TSMC의 매출 또한 꾸준히 증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3. 기술력 세계 1위

(순수 파운드리 회사)

자료출처 : 조선일보

TSMC는 현재 5나노 공정으로 반도체를 양산하고 있으며, 3나노 공정 기술 개발을 완료해 2021년 시험 생산 준비를 완료하고 2022년 하반기부터 양산에 들어갈 계획이라고 합니다.(삼성보다 반박자 빠름)

삼성전자의 경우 애플 등과 스마트폰 경쟁을 벌이고 있기 때문에, 기술력과는 별개로 파운드리에만 집중하는 TSMC가 좀더 시장 경쟁력이 있지 않나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간단히 정리하면...

자료출처 : 인베스팅닷컴/네이버/토리부부 편집

주가는 2020년 7월 10일(금) 종가기준으로, 나머지는 19년 실적을 기준으로 비교해 봤는데 아직까지 매출액 규모로는 삼성전자가 훨씬 큰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다만 삼성전자의 경우 스마트폰, 메모리반도체 등 다양한 사업부를 영위하므로 직접적인 비교는 어렵지만 TSMC 시가총액이 삼성을 뛰어넘었다는 것은 시장에서는 TSMC에 더 많은 프리미엄을 주고 있다는 신호 아닐까 생각합니다.

또한, TSMC 주가가 많이 올랐지만 시가배당률이 나쁘지 않아 장기적으로 투자하기에도 괜찮아 보입니다.

모두들 성공투자 하세요. 화이팅!!

* 해당 종목 매수/매도 추천이 아니며 개인적인 기록입니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