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밤토리 입니다~^^
오늘 살펴볼 기업은 글로벌 게임회사로, 항상 알리바바와 경쟁자로 비교되는 중국의 '텐센트' 입니다.
텐센트는 어떤 회사?
1. 기업 개요
자료출처 : 삼성증권
텐센트는 1998년 설립되었으며, PC용 메신저 QQ를 출시하며 사업을 시작하였습니다.
이후, 온라인 게임, SNS, 지급결제(Tenpay), 모바일 메신저(WeChat) 등을 잇따라 출시하며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하게 되었습니다.
특히, 위챗은 중국 12억명이 사용하는 국민 메신저로 자리를 잡았습니다.
최대 주주는 남아공의 내스퍼스(Naspers)로 지분 31%를 가지고 있으며, 현재 홍콩거래소에 상장(티커:0700)되어 있습니다.
2. 매출 구성
자료출처 : 삼성증권
매출 구성은 온라인게임(30%), 핀테크 및 비즈니스 서비스(27%), 위챗을 비롯한 소셜 네트워크(23%) 순입니다.
자료출처 : 삼성증권
5년 전인 2015년에만 해도 온라인 게임 비중이 55%로 절반이상을 차지하였지만,
현재는 핀테크 및 비즈니스 서비스의 성장으로 사업별로 매출이 고르게 분포가 되어 있습니다.
* 참고 : 알리바바는 전자상거래 매출이 전체의 68%로 특정 사업의 매출쏠림이 심한 편입니다.
3. 텐센트 생태계 (반 알리바바 연합)
자료출처 : 삼성증권
알리바바가 수직계열화를 통해 생태계를 구축하였다면, 텐센트는 다양한 분야 기업에 대한 지분투자로 수평적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특히 메이퇀, 핀둬둬 등의 지분투자를 통해 알리바바에 대항할 수 있는 생태계를 확산시키고 있습니다.
텐센트 주요사업 알아보기!
1. 게임
1) 압도적 시장점유율 1위
자료출처 : 삼성증권
텐센트는 글로벌 게임 1위 시장인 중국에서 시장점유율 51%로 압도적인 1위입니다.
게임 사업부 성장률은 많이 감소하였지만, 매출액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고성장보다는 텐센트의 캐쉬카우 역할을 톡톡히 해줄것 으로 기대 됩니다.
2) 절반 이상이 텐센트 게임!
자료출처 : 삼성증권
인기게임 Top10 중 5개가 텐센트 게임이며, 핀란드의 슈퍼셀, 한국의 넷마블, 미국의 엑티비전 블리자드 등 다양한 기업의 지분 및 투자 제휴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480개 게임 포트폴리오 및 게임유저 8억명 보유)
3) 스트리밍(클라우드) 게임의 성장성
자료출처 : 삼성증권
구글은 스타디아, 마이크로소프트는 X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해 스트리밍 게임을 제공하고 있으며
텐센트 또한 START 서비스를 통해 스트리밍(클라우드) 게임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많은 글로벌 IT 기업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스트리밍 게임 시장은 지속 성장이 예상되기에, 텐센트의 앞으로의 행보도 지켜봐야 겠습니다!
2. 핀테크 및 비즈니스 서비스
1) 모바일 결제 2위
자료출처 : 삼성증권
중국은 모바일 결제 선호도가 큰 국가 중 하나로 모바일 결제 비중이 전체의 약 63%를 차지합니다.
텐센트는 시장 1위인 알리바바(알리페이)에 비해 시장에 늦게 진출하였으나 매년 시장점유율을 확대하여 19년 40%의 시장점유율을 기록했습니다.
* 참고 : 시장 1위 알리바바는 54%
2) 인터넷 전문은행 WeBank!
자료출처 : 삼성증권
2014년 중국 최초로 WeBank라는 인터넷 전문은행을 출범시켰습니다. 12억명의 사용자를 잠재 고객으로, 여러 중소형 은행들과 제휴를 맺어 개인 소액 대출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3) 중국 클라우드 2위!
자료출처 : 삼성증권
중국의 클라우드 시장은 2018년부터 연평균 60%의 성장이 예상되며, 텐센트 클라우드는 시장점유율 18%로 알리 클라우드에 이어 2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3. 소셜 네트워크
1) 다양한 플랫폼!
자료출처 : 삼성증권
국민메신저 위챗을 비롯해, 음원 스트리밍, 동영상, 브라우저 등 다양한 소셜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2) 중국 뮤직 및 동영상 스트리밍 1위!
자료출처 : 삼성증권
중국 내 뮤직 스트리밍 시장점유율 80%로 압도적 1위이며, 글로벌 콘텐츠 제작사 (유니버셜뮤직, 스포티파이)에도 지분을 투자 하고 있습니다.
* 온라인 뮤직스트리밍 고객수는 6.4억명에 달함
자료출처 : 삼성증권
현재 중국 내 동영상 스트리밍 시장점유율 37%로 1위를 기록하고 있으나, 바이트댄스의 숏 비디오 플랫폼인 Tiktok이 글로벌 시장에서 성공을 거두고 있고, 스트리밍 2위 사업자인 아이치이도 바짝 추격하는 모양세 입니다.
3) 텐센트 미니프로그램의 성장!
(클라우드 앱 플랫폼)
자료출처 : 삼성증권
2017년 출시한 미니프로그램은 클라우드 기반으로 다운로드 없이 앱 접속이 가능하도록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합니다.
18년말 가입자 수는 6억명을 상회하며, 식당.호텔.상점 등과 연계하여 바로 거래할 수 있는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4. 광고
자료출처 : 삼성증권
텐센트의 광고 시잠점유율은 14%로 중국내 3위이나, 글로벌 광고시장 1위인 알파벳(구글)과 비교하면 10분의 1수준으로 아직 미미한 수준임을 알 수 있습니다.
* SNS를 기반으로 사업을 영위하는 페이스북의 경우 매출의 95%가 광고수입인 것을 감안하면, 텐센트의 광고수입이 크지 않음을 알 수 있습니다(텐센트의 광고매출 비중 19%)
자료출처 : 삼성증권
중국 온라인 광고 시장의 주류는 전자상거래 플랫폼 광고(약 38%)입니다. 모바일 SNS 기반의 텐센트는 아직까지 크게 힘을 못쓰고 있는 상황이며, 숏폼 동영상(틱톡 등)이 시장을 무섭게 확대(12%)하고 있는 상황으로 앞으로도 녹록치는 않아 보입니다.
5. 전자상거래
자료출처 : 삼성증권
텐센트는 중국 전자상거래 2위 사업자인 징동닷컴의 지분 17.9%를 보유하고 있으며, 핀둬둬, 메이퇀 등의 지분투자를 통해 간접적으로 전자상거래 분야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자료출처 : 삼성증권
이커머스(전자상거래) 시장에서 알리바바가 워낙 강력하다보니, 나머지 알리바바 반 연합세력의 시장점유율을 다 합쳐도 알리바바의 절반도 되지 않는 상황입니다.
전자상거래 분야에서는 앞으로도 알리바바를 따라잡기는 쉽지 않아 보입니다(개인적인 생각...)
간단히 정리하면...
자료출처 : 삼성증권
매출액은 지속 성장하나, 영업이익률은 2020년 이후로 조금씩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자료출처 : CNBC.com
6월 24일(수) 종가기준 텐센트 주가는 약 490 홍콩달러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장기 차트를 알리바바(녹색)와 비교해보면, 텐센트(파랑)가 크게 앞서 있습니다.
자료출처 : 토리부부 편집
현재 시가총액 및 매출액은 알리바바가 좀더 크며, 영업이익은 텐센트가 조금 더 높은 편입니다. 중국의 두 IT 거인 텐센트와 알리바바의 앞날이 어떻게 될지 ~ 궁금합니다!
모두 성공투자하세요! 화이팅!!
2020.6.30 주린이를 위한 해외주식(미국주식) 투자정보 쉽게 찾는 법 (feat.키움증권 홈페이지) (0) | 2020.07.05 |
---|---|
2020.6.27 미국 전자상거래 기업 아마존 주식(주가) 분석! (0) | 2020.07.05 |
2020.6.24 중국 전자상거래 기업 알리바바 주식(주가) 분석! (0) | 2020.07.05 |
2020.6.21 삼성증권 해외주식(미국, 유럽주식 등) 수수료 이벤트!(20년 말까지!) (0) | 2020.07.05 |
2020.6.21 중국 인터넷 기업(텐센트, 알리바바, 메이퇀 디엔핑) 투자하기!(feat.KWEB ETF 주가) (0) | 2020.07.05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