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밤토리 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2020년 인구가 처음으로 자연감소가 되었으며,
중국의 경우도 저출산.고령화라는 사회변화에 직면해 있습니다.
이때 투자자 입장에서 어떻게 사회현상을 바라보고 투자포인트를 잡으면 좋을지 간단하게 고민을 해볼까 합니다^^
자료출처 : 아시아경제, 연합뉴스
1. 대한민국
자료출처 : 연합뉴스
우리나라의 경우 2020년 출생자수는 27.24만명인데 사망자수는 30.51만명으로,
3.27만명의 인구자연감소가 최초로 발생했다고 합니다.
자료출처 : 매일경제, 매일이코노미
합계출산율은 0.84명으로 OECD 국가중 가장 낮으며 ,
저출산 및 고령화로 인하여 65세 이상 노인인구 비율은 2040년에는 34.3%에 달할것으로 전망됩니다.
자료출처 : 네이버
코로나 19때문에 폐업한 태권도장이 많다고 하는데, 이러한 인구변화로 인하여
유아,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사업은 점점 어려움을 겪을 것 같습니다.
2. 중국
자료출처 : 중앙일보
중국사회과학원은 중국 인구가 2029년 14억 4,200만명으로 정점을 찍은 후
2030년부터 계속 감소하여 2050년 13억 6,400만명으로 축소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습니다.
* 2016년 1가구 2자녀로 산아정책을 완화하였지만 큰 효과는 없는 것 같습니다.
(중국도 집값이 비싸고 아이를 키우는데 교육비가 많이 들어가다보니
결혼 혹은 많은 아이를 낳는것을 원하지 않음)
자료출처 : 유엔경제사회이사국, WSJ
중국은 세계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국가인 동시에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1970년 중국의 연령대 중앙값은 당시 미국보다 10년 가까이 더 낮았지만,
2015년에 미국을 앞질러 연령대 중앙값이 미국보다 높아졌습니다.
2019년 말 기준 60세(중국 은퇴연령) 이상 인구는 약 2억 5400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18.1%를 차지하고 있으며,
2025년에는 전체인구의 20%, 2030년에는 23%에 이를 전망입니다.
3. 저출산, 고령화시대 투자처는?
자료출처 : IBK 투자증권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규모는 매년 증가추이에 있으며, 코로나 19이후 더욱 크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65세 이상을 노인으로 부르지만 과거와는 다르게 스마트폰을 거의다 보유하고 있고
간단한 조작/사용은 충분히 가능하기에,
스마트폰을 활용한 헬스케어 사업은 앞으로도 더욱 번창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자료출처 : SK 증권
특히, 중국의 경우 고령화 뿐만아니라 의사수, 병상수 등이 너무 적어
의료환경이 우리나라에 비해 굉장히 취약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반대로 말하면 중국의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은 성장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고 생각합니다.
예) 원격의료, 온라인 의약품 판매 등 (미국 텔라닥, 중국 핑안헬스케어/알리건강 등)
자료출처 : BIZ WORLD
미국의 경우도 아마존이 '필팩'을 인수하여 온라인 약국사업(아마존 파머시)을 하고 있는데,
앞으로도 더많은 기업들이 뛰어들지 않을까 싶습니다.
"성장하는 산업에 투자하라"
모두들 성공투자 하세요. 화이팅!
[미국주식#70] 에어비앤비(airbnb) 주식 '20년 4분기 실적분석! (0) | 2021.03.03 |
---|---|
[미국주식#69] 아메리칸워터(AWK) 주식 '20년 실적분석!(feat.유틸리티 관련주/경기방어주) (0) | 2021.03.02 |
[비트코인#2] '비트코인 투자' 10년 장기프로젝트 '21.2월 결산!(D+15일) (0) | 2021.02.28 |
[미국주식#68] 텔라닥 헬스(Teladoc Health) '20.4분기 실적분석! (0) | 2021.02.26 |
[미국주식#67] 엔비디아(NVIDIA) FY21.Q4 실적발표 분석! (feat.게이밍, 데이터센터 호실적) (0) | 2021.02.25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