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2020.6.24 중국 전자상거래 기업 알리바바 주식(주가) 분석!

토리부부 2020. 7. 5. 20:54

안녕하세요. 밤토리 입니다~^^.

오늘은 중국의 대표적인 전자상거래 기업인 '알리바바' 에 대해서 간단히 살펴볼까 합니다.!


알리바바는 어떤기업?

1. 알리바바 주요 연혁

자료출처 : 삼성증권

알리바바의 시작점은 1999년에 시작한 B2B 전자상거래 시스템인 1688.com 입니다. 그 이후, Taobao(C2C)와 Tmall(B2C)의 성공으로 중국의 전자상거래 1위 기업으로 발돋움 했습니다.

결제시장 - Alipay / 클라우드 - Alibaba Clloud / 배송(물류) - 차이니아오 등 사업다각화에 성공!!

최대주주는 소프트뱅크로 지분 25.8%를 가지고 있으며, 14년 미국 뉴욕 시장에 상장하여 거래가 되었지만 작년('19년) 11월 홍콩증권거래소에도 상장하여 두 곳에서 모두 거래가 가능합니다.! (미국 : BABA / 홍콩 : 9988)

2. 알리바바 매출 구성

자료출처 : 알리바바

알리바바 매출구성을 살펴보면 국내(중국) 전자상거래 매출이 68%로 가장 높고, 그 다음이 해외 전자상거래가 7%, 클라우드가 8%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자료출처 : 삼성증권

5년 전만하더라도 전자상거래 매출비중이 80%에 달했지만 물류, 클라우드, 미디어 등 다양한 매출 다변화로 2020년 중국내 전자상거래 매출 비중은 68%로 감소하였습니다.

3. 알리바바의 다양한 플랫폼

자료출처 : 삼성증권

전자상거래, 온라인 결제, 스마트 물류, 클라우드, 리테일, 미디어 등 모든 관련 비즈니스를 구축하였으며 알리바바의 Digital Economy 전략은 사업부 간 시너지를 극대화 하고 있습니다.

* 타오바오/티몰로 유입된 고객 트래픽을 다른 플랫폼으로 연결시키며 알리생태계 내에서 체류시간을 증가시키는 전략을 취하고 있음


알리바바 주요사업 살펴보기!

1. 전자상거래

1) 고객수 및 GMV 압도적 1위!

자료출처 : 삼성증권

알리바바의 전자상거래 고객수는 중국내에서 1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GMV(Gross Merchandise Value, 총거래금액)의 경우 1조달러로 아마존과 비교해도 약 3배가량 높은 수준입니다. (매년 광군제때 신기록을 달성하고 있죠..^^)

2) 해외 직구시장 점유율 1위!

자료출처 : 삼성증권

2018년 기준 GMV(총 거래금액)에서 해외직구 비중은 2.2%에 불과해 성장 여력이 높으며, 구매고객 1억명, 시장 규모 8.8조 위안으로 연평균 13.6%씩 성장하고 있습니다.

티몰글로벌과 왕이카오라(19년 인수)를 합친 시장점유율은 57%로 1위를 달리고 있습니다.

3) 6억 소비자 동남아 이커머스 진출!

자료출처 : 삼성증권

알리바바의 경우 중국뿐만 아니라 동남아시아 에서도 시장 점유율을 늘려가고 있습니다.

6억명의 잠재 소비자를 보유한 동남아시아를 잡을 경우 전자상거래 뿐만아니라 결제(핀테크), 클라우드, 스마트물류 등 연관 생태계를 잠식 할 수 있는 좋은 기회 입니다!

2. 미디어&엔터테인먼트

1) 콘텐츠/플랫폼/언론 다양한 지분보유!

자료출처 : 삼성증권

중국판 디즈니를 꿈꾸며 미디어 관련해서 다양한 기업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2) 영화 배급/제작 NO.1!

자료출처 : 삼성증권

특히 Alibaba Pictures는 중국영화 히트작 Top 10중 8개의 배급/공동 제작에 참여할 정도로, 영화시장은 알리바가가 장악을 하고 있습니다.

3) 동영상 스트리밍/뮤직 약세

자료출처 : 삼성증권

알리바바가 가장 고전하고 있는 사업분야가 스트리밍/뮤직 시장입니다. 스트리밍 시장은 텐센트, 바이두(아이치이)에 이어 시장점유율 3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뮤직시장은 텐센트가 80%의 시장을 장악하고 있습니다.

3. 핀테크 (엔트파이낸셜)

자료출처 : 삼성증권

엔트파이낸셜의 전신은 2004년 출범한 Alipay로 글로벌 56개 국가의 오프라인 상점에서 이용이 가능하며, 10개 국가의 로컬 전자지갑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알리바바는 엔트파이낸셜 지분 33%를 가지고 있으며, 결제, 자산관리, 신용평가, 온라인은행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자료출처 : 삼성증권

중국인들의 모바일 결제비중은 63%에 달하며, 모바일 결제시장 점유율도 소폭 하락하긴 했지만 54%로 중국내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4. 클라우드 (알리클라우드)

1) 아태지역 클라우드 시장점유율 1위

자료출처 : 삼성증권

글로벌 클라우드 시장은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구글의 3강체제가 굳혀지고 있지만 이들 업체도 중국에서는 산업보호 정책으로 로컬 기업과 JV로의 참여만 가능해 제한적인 영업만 가능한 상황입니다.

알리 클라우드의 경우 중국내에서는 46%로 압도적인 1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아태지역에서도 20%로 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2) 클라우드 사업부 매출 증대! 이익은 마이너스!

자료출처 : 삼성증권

클라우드 사업은 대규모 인프라 투자(데이터센터)가 선행되어야 하다보니 일정 수준 이상의 규모의 경제를 달성한 이후에야 돈을 벌 수 있습니다.

아마존 AWS의 경우 2006년 출시이후 8년만에 흑자전환 하였으며, 알리 클라우드의 경우 2011년 출시이후 아직까지 적자상태이나 중국을 포함한 아태지역의 빠른 성장으로 곧 흑자전환이 예상됩니다.

3) 아마존 사례 (알리바바의 이익 및 주가 상승 가능성)

자료출처 : 삼성증권

아마존 AWS이 돈을벌기시작한 2014년 이후부터 영업이익 및 영업현금흐름이 폭발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주가 또한 급 상승 하였습니다.

알리바바의 경우 최근 아마존을 비롯한 글로벌 IT기업들에 비해 주가가 지지부진 한데, 알리 클라우드가 흑자전화 하여 캐시카우로 돌아서는 순간 아마존과 같이 주가가 쭉쭉 올라가지 않을까요?^^

5. 헬스케어 (알리건강)

1) 중국 온라인 의약품 성장!

자료출처 : 삼성증권

알리바바는 '알리건강'을 통해 헬스케어 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중국의 온라인 의약품 시장은 매년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알리건강은 온라인 의약품 유통 시장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2) 알리건강의 다양한 사업영업

자료출처 : 삼성증권

온라인 의약품 유통 뿐만아니라, 온라인 진료 등 다양한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3) 알리바바 계열사와의 시너지!

자료출처 : 삼성증권

알리건강의경쟁력은 다양한 계열사와의 시너지로 원스톱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간단히 정리하면...

알리바바 실적 (아마존과 비교)

 

자료출처 : 삼성증권

매출성장률은 매년 감소하고 있지만 아직 30%로 아마존 보다 조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영업이익률 18%는 아마존의 5.2%와 비교 했을때 약 3배가량 높은 수준입니다.

아마존은 클라우드 사업으로 최근 영업이익이 좋아져서 저정도 영업이익률을 보이고 있지만, 알리바바의 경우 클라우드 사업부가 아직 적자상황임에도 높은 영업이익률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자료출처 : CNBC.com

6월 22일(월) 종가기준 알리바바(파랑) 주가는 약 221.41$를 기록하고 있으며, 아마존(녹색)과 비교시 2018년에는 비슷한 수준까지 올랐다가 최근 2~3년간 차이가 크게 벌어 졌습니다.

앞으로 클라우드 사업의 흑자전환 & 아마존과 같은 폭발적인 주가상승을 기대해 봅니다! 모두들 성공투자 하세요! 화이팅!!